본문 바로가기

김영하

아담은 왜 - 김영하 이 소설은 가장 특징적인 것은 작가가 소설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을 보여 준다는 것이다. 이른바 메타픽션의 기법을 활용하고 있는 것인데, 이로써 작가는 이 소설의 허구라는 것을 독자들의 끝까지 의식하도록 만들고 있다. 통상의 소설이 토도로프가 말한 것처럼 핍진성을 의심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상레임을 생각한다면, 핍진성을 보장하는 장치들을 의도적으로 무시하는 이와 같은 작가의 시도는 이 소설보다 깊은 주제가 허구의 본질을 드러내는 데 있음을 알려 준다. 그렇다면 작가가 허구의 본질로 드러내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을 일단 우연성(비합리성)과 필연성(합리성)의 긴장 관계로 드러난다. 이를 작가는 이 소설 속에서 만들어지는 과정과 함께 제시되는 두 개의 이야기 , 곧 조선시대부터 인구에 회자되었던 '아랑의 전설'.. 더보기
엘리베이터에 낀 그 남자는 어떻게 되었나 - 김영하 1990년대 후반, 수상한 무리들이 한국문학의 영토를 침범했다. 생소한 감각과 미학으로 무장한 그들은 전통적인 모범이나 규칙을 그다지 존중하지 않는 편이었다. 『계몽주의는 철 지난 신화로 취급당하고, 리얼리즘적 재현원칙이 강력한 도전에 직면했으며, 고급문학과 대중문학, 사실과 허구 사이의 유서깊은 분리는 대단히 불투명한 것이 되었다. 한때 신경숙·윤대녕 등의 문학을 가리켰던 '신세대문학'이란 명칭은 내면적 진실과 문학적 진정성마저 거부하는 그들에게 더욱 합당한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그들의 문학은 단순한 '안티' 이상의 것이었다. 90년대의 '신세대문학'이 즉자적인 반역이나 일시적인 유행 이상이라는 사실은 갈수록 더욱 확연해지고 있다. 아마 그들의 작업을 제외하고 90년대 문학의 지도를 작성하는 일은 거.. 더보기
김영하 비평 김영하의 소설이 머금고 있는 스펙터클의 폭은 아주 넓다. 죽음문제에서부터 현대문명의 심각한 질병인 나르시시즘,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하이퍼리얼리티, 소통이 가로막히고 그래서 의미의 교환이 위협당하는 시대의 풍경 등에 이르기까지 이 신예작가는 현대의 일상을 아주 다각적으로 파고들고 있다. 그런 주제의 부챗살 중에 이 글의 위치에서 의당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대목은 죽음, 나르시시즘, 커뮤니케니션의 문제 등속 이며 또한 그것들의 상호관계이다. 그 중 나르시시즘을 생각해보자. 자본주의 문명의 특징이 전 신민의 나르시소스화라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그 수많은 나르시소스는 상품미학이 제공한 연출법을 사숙하면서 ‘연출하는 자아’로 동성애 대목도 비슷한 맥락으로 간주된다. 소설 해설자 강상희의 지적대로 동.. 더보기